본문 바로가기
  • 공부, 여행 리뷰해요~~!!
공부/GPS and GNSS

GPS 좌표계

by 하나리나 2024. 2. 20.
반응형

대표적인 GPS 좌표계에는 WGS84와 ECEF 등이 있습니다.

이와 관련하여 공부한 내용을 정리하였습니다.

 

틀린 내용이 있다면 댓글 달아주시면 확인 후 수정하겠습니다.

 

 

GPS의 기본 개념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는 우주에서 운영되는 위성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위치를 계산하는 기술입니다. 이것은 지구상의 어떤 곳에서도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강력한 도구로 활용됩니다.

GPS의 경우 사용자의 위치를 계산할 때 위성과 사용자의 좌표계가 일치해야 사용자의 위치를 정확하게 구할 수 있습니다.

 

GPS 좌표계

GPS 좌표계는 우리가 위치를 파악하기 위해 사용되는 좌표 시스템입니다. 이러한 좌표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WGS84(World Geodetic System 1984)라는 지구의 모양과 크기를 설명하는 모델을 기반으로 합니다. WGS84 좌표계는 지구를 조각 내어 위도(Latitude), 경도(Longitude), 고도(Altitude or Height)로 표현합니다.

 


1. WGS84 (World Geodetic System 1984)

WGS84는 World Geodetic System 1984의 약자로, 지구의 형태와 크기를 설명하는 좌표 시스템입니다. 이 시스템은 1984년에 정의되었고, 지구의 표면을 모델링하기 위한 국제 표준으로 널리 사용됩니다.

WGS84 좌표 시스템은 지구를 3차원 공간으로 표현하며, 위도(Latitude), 경도(Longitude), 고도(Altitude) 의 좌표를 사용하여 지구상의 어떤 지점이든 정확하게 표시할 수 있습니다. 이 좌표 시스템은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및 다른 위성 네트워크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기준으로서, 전 세계적으로 일관성 있게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하는 데 사용됩니다.

WGS84는 지구의 지오이드(geoid) 모델을 기반으로 합니다. 지오이드는 실제로 지구의 형태를 나타내는데, 지구의 지형과 해수면의 등고선을 고려하여 지구를 타워체로 가정하여 위치를 나타내는 기준계로 정의됩니다. 따라서 WGS84 좌표 시스템은 실제 지구의 형태와 크기를 정확하게 반영하고, 전 세계적으로 일관성 있는 좌표를 제공합니다

 

WGS84 좌표계에서 위도, 경도, 고도는 다음과 같은 기준으로 측정할 수 있습니다.

 - 위도: 본초자오선 (Prime Meridian)을 따라 동쪽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설정됩니다. 이는 0도 경도를 따라서 지구를 가로질러 있는 선으로, 그리니치 천문대를 기준으로 합니다.

 - 경도: 적도를 따라 북쪽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설정됩니다. 즉, 0도 경도와 수직인 방향입니다.

 - 고도:: 지구의 수직 방향을 나타냅니다. 일반적으로 지구의 중심에서 위쪽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설정됩니다.



2. ECEF (Earth-Centered, Earth-Fixed)

ECEF는 Earth-Centered, Earth-Fixed의 약자로, 지구 중심 좌표계를 의미합니다. 이는 지구를 중심으로 하고 회전하는 좌표 시스템으로, 이동하지 않는 고정된 지구를 기준으로 합니다.

 

ECEF 좌표 시스템에서의 x, y, z 축은 다음과 같이 정의됩니다:

 - x 축: 본초자오선 (Prime Meridian)을 따라 동쪽으로 향하는 방향입니다. 이는 지구의 중심을 향하는 축입니다.

 - y 축: 적도를 따라 북쪽으로 향하는 방향입니다. 이는 지구의 중심을 향하는 축에 수직이며, 본초자오선과 수평입니다.

 - z 축: 지구의 자전 축과 평행하며, 지구의 수직 방향입니다.

 

이러한 좌표 시스템은 지구 상의 고정된 위치를 정확하게 나타내는 데 사용됩니다. ECEF 좌표계는 주로 항공 및 우주 항법, 위성 트래킹 및 항해, 지형 모델링 등의 분야에서 활용됩니다. 예를 들어, GPS 수신기는 위성에서 수신한 신호를 ECEF 좌표로 변환하여 지구 상의 정확한 위치를 파악합니다.



3. 지역 좌표계

지역 좌표계는 특정 지역이나 국가에 맞게 조정된 좌표 시스템입니다. 이것은 주로 지리 정보 시스템(GIS) 및 지역적인 공간 데이터 분석에서 사용됩니다.

 


좌표계의 중요성

GPS위성의 신호를 통해 획득하는 위성의 좌표는 ECEF 기준입니다.

ECEF 기준의 XYZ 좌표를 통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구하게 되면, 사용자의 위치는 ECEF 기준의 XYZ 좌표를 획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좌표를 통해, 필요에 맞게 ECEF, WGS84, 지역좌표계 등으로 변환하여 사용자의 목적에 맞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좌표계는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 필수적입니다. GPS의 주요 목적은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며, 이를 위해서는 정확한 좌표계가 필요합니다. 또한, 다양한 분야에서 좌표계는 지리 정보 시스템(GIS), 항공 및 우주 항법, 지형 모델링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됩니다.

 



결론

GPS 좌표계는 우리가 위치를 파악하고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WGS84와 ECEF와 같은 다양한 좌표 시스템은 우리가 지구 상의 어디에서나 정확한 위치를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특히, 위성 신호를 획득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구할 때 좌표계를 통일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종센서 간의 통합 시 좌표계를 일치하는 작업이 중요하며, 사용자의 목적에 맞는 좌표계를 선택하는 것도 중요할 것입니다.

또한, GNSS 위성군의 좌표계는 서로 상이하므로 좌표계를 일치하는 역할이 중요합니다.

좌표계가 다를 경우 사용자단에서 구해지는 위치에 많은 오차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반응형